모리스 크비텔라시빌리

덤프버전 : (♥ 0)

모리스 크비텔라시빌리
მორის ყვითელაშვილი | Morisi Kvitelashvili
본명모리스 미하일로비치 크비텔라시빌리
მორის ყვითელაშვილი[1]
Морис Михайлович Квителашвили[2]
Morisi Mikhailovich Kvitelashvili
출생1995년 3월 17일 (29세)
러시아 모스크바
국적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6)
파일:조지아 국기.svg

(2016~)
신체180cm
종목피겨 스케이팅
코치에테리 투트베리제, 세르게이 두다코프
은퇴2023년 6월 6일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러시아 선수 시절
2.1.1. 주니어 시즌
2.1.2. 2014-15 시즌
2.1.3. 2015-16 시즌
2.2. 조지아 선수 시절
2.2.1. 2016-17 시즌
2.2.2. 2017-18 시즌
2.2.3. 2018-19 시즌
2.2.4. 2019-20 시즌
2.2.5. 2020-21 시즌
2.2.6. 2021-22 시즌
2.2.7. 2022-23 시즌
3. 평가
4. 기록
5. ISU 공인 최고점수
6. 커리어
7. 기타



1. 개요[편집]


조지아의 前 피겨 스케이팅 남자 싱글 선수이다.


2. 선수 경력[편집]



2.1. 러시아 선수 시절[편집]


2000년에 스케이트를 배우기 시작했다. 그의 첫 코치는 CSKA 모스크바의 옐레나 프로스쿠리나였다.


2.1.1. 주니어 시즌[편집]


2011 러시아 주니어선수권에서 14위, 2012 러시아 주니어선수권에서 18위를 차지했다. 자신의 첫 국제 대회인 2012 NRW 트로피에서 주니어 부문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3-14 시즌,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 데뷔하였다. 2013 JGP 슬로바키아에서 4위, 2013 JGP 체코에서 동메달을 땄다. 2014 러시아 주니어선수권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2.1.2. 2014-15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 2014 CS 롬바르디아 트로피에서 5위를 했다. 그리고 부상당한 미하일 콜랴다를 대체하여 2014 로스텔레콤 컵에 출전하게 되어, 시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했다. 자신의 첫 번째 그랑프리에서 12위꼴찌를 했다. 2015 러시아선수권에서 8위를 했고, 2015 그라나다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 7위를 했다.


2.1.3. 2015-16 시즌[편집]


챌린저 시리즈 2015 CS 몰도비안 오너먼트에서 3위를 했다. 그랑프리 2015 컵 오브 차이나에서는 또 12위꼴찌를 했다. 챌린저 시리즈 2015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서 5위를 했고, 2016 러시아선수권에서 12위를 했다.

2016년 5월, 크비텔라시빌리는 러시아 피겨 스케이팅 관계자들에게 조지아 국가대표로 출전하기 위해 풀려나도록 요청했다.


2.2. 조지아 선수 시절[편집]



2.2.1. 2016-17 시즌[편집]


조지아 대표로서 첫 출전한 대회인 산타클로스 컵에서 우승하며 챔피언십 대회 최소기술점을 얻었다. 처음 출전한 2017 유럽선수권에서는 6위를 차지했다. 2017 세계선수권에서는 13위를 기록하며, 2018 평창 동계올림픽조지아 남자 싱글 출전권 1장을 획득했다.


2.2.2. 2017-18 시즌[편집]


그랑프리 2017 로스텔레콤 컵에서 5위, 2017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에서 6위를 기록했다.
이어서 챌린저 시리즈 두 대회에 출전하여 2017 CS 아이스 스타에서 2위, 2017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에서 1위를 차지했다.

2018 유럽선수권에서 12위를 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쇼트 22위를 기록해 프리에 진출하였고 최종 24위를 기록했다. 2018 세계선수권에서는 쇼트 26위를 기록하며 프리컷을 당했다.


2.2.3. 2018-19 시즌[편집]


2018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에서 4위를 차지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두 번째 챌린저 대회인 2018 CS 핀란디아 트로피에서는 3위를 차지했다. 그랑프리 2018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8위, 2018 로스텔레콤 컵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하며 자신의 첫 그랑프리 메달을 얻었다.

2019 유럽선수권에서 10위를 했고, 2019 크라스노야르스크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9 세계선수권에서는 13위를 기록했다.


2.2.4. 2019-20 시즌[편집]


2019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에서 4위를 차지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처음으로 열린 데니스 텐 메모리얼 챌린지에서는 우승했다. 그랑프리 2019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에서 4위, 2019 로스텔레콤 컵에서 7위를 기록했다.

2020 유럽선수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자신의 첫 챔피언십 대회 메달을 얻었다. 이로써 유럽선수권에서 메달을 획득한 최초의 조지아 남자 선수가 되었다.[3] 이후 코로나로 인해 세계선수권이 취소되어 시즌을 마감했다.


2.2.5. 2020-21 시즌[편집]


코로나로 안해 2020 로스텔레콤 컵에만 배정되었고 은메달을 획득했다.

2021 세계선수권에서 14위를 기록하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조지아 남자 싱글 출전권 1장을 획득했다.


2.2.6. 2021-22 시즌[편집]


2021 CS 롬바르디아 트로피에서 3위를 차지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그랑프리 2021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6위, 2021 로스텔레콤 컵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자신의 첫 그랑프리 금메달을 얻었다. 2021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2022 유럽선수권에서 모두 6위를 기록했다.

자신의 두 번째 올림픽에 출전하여,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단체전 쇼트에서 4위를 기록하며 7포인트를 얻었지만 조지아 팀은 6위로 5위까지 주어지는 프리 스케이팅 진출에 실패했다. 개인전에서는 10위를 차지했으며 2022 세계선수권에서는 4위에 올랐다.


2.2.7. 2022-23 시즌[편집]


2022 CS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2위를 차지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2022 MK 존 윌슨 트로피에서 쇼트에서 모든 점프에서 실수가 나와 12위를 차지했고 프리에선 두 번의 쿼드러플 토룹과 마지막 컴비네이션 점프, 스핀에서 한 차례 무효가 나와 6위를 기록했고 최종 8위를 차지했다. 2022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에서도 쇼트에서 모든 점프에서 실수가 나와 62.42점을 받았고 프리에선 3A에서 스텝 아웃, 시도한 4T에서 모두 실수가 나와 134.38점을 받았다. 총점 196.80점으로 최종 12위를 차지했다.

2023 유럽선수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4S+3T의 랜딩에서 실수가 나와 첫 점프에서 쿼터 판정을 받았고 3A을 싱글링 했으며 후반부의 4T의 랜딩에서 손을 짚으며 70.55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4S와 4T에서 스텝 아웃을 했고 3A에서 넘어지며 쿼터 판정을 받았고 후반부의 4T을 더블링 했으며 3F+3T의 후속 점프를 더블링하고 비점프 요소의 레벨을 놓치며 124.04점을 받았다. 총점 194.59점으로 16위를 기록했다.


3. 평가[편집]


크비텔라시빌리의 4T[4]
점프 매커니즘이 독특한데, 살코토룹의 구분이 잘 되지 않는다. 특히 쿼드러플 토룹을 도약할 때 쿼드러플 살코와 거의 비슷해 보일 정도다. 하비에르 페르난데스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 이 문제를 지적했다.


4. 기록[편집]




5. ISU 공인 최고점수[편집]


ISU 공인 최고점수
쇼트97.98(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프리179.42(2022 세계선수권)
총점272.03(2022 세계선수권)


6. 커리어[편집]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유럽선수권
동메달2020 그라츠남자 싱글
유니버시아드
동메달2019 크라스노야르스크남자 싱글

국제대회:시니어
대회10–1111–1212–1313–1414–1515–1616–1717–1818–1919–2020–2121–2222–23
올림픽24th10th
세계선수권13th26th13thC14th4th20th
유럽선수권6th12th10th3rd6th16th
GP 그랑프리 오브 에스포12th
GP MK 존 윌슨 트로피8th
GP 스케이트 캐나다6th
GP 스케이트 아메리카8th
GP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6th4th
GP 로스텔레콤 컵5th2nd7th2nd1st
GP 컵 오브 차이나12th
CS 핀란디아 트로피3rd2nd
CS 온드레이 네펠라 메모리얼4th
CS 아이스 스타2nd
CS 몰도비안 오너먼트3rd
CS 골든 스핀 오브 자그레브5th5th1st2nd8th
CS 롬바르디아 트로피5th4th3rd
데니스 텐 메모리얼 챌린지1st
보스포러스 컵1st
상하이 트로피2nd
인터내셔널 챌린지 컵3rd7th
산타 클로스 컵1st
유니버시아드5th7th3rd
국제대회:주니어
JGP 체코3rd
JGP 슬로바키아4th
NRW 트로피3rd J
국내대회
조지아선수권1st
러시아선수권15th8th12th
러시아 주니어선수권14th8th14th3rd
러시안 컵 파이널4th
러시안 컵 3차2nd
러시안 컵 2차2nd
단체전
올림픽6th T
4th P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C=취소, T=팀 결과, P=개인 결과, J=주니어


7. 기타[편집]


[1] 조지아식 이름, 발음 기호 mɔris qʼvitʰɛlɑʃvili [2] 러시아식 이름[3] 전체 부문으로 보면 2012년 엘렌 게데바니시빌리가 여자 싱글에서 동메달을 딴 이후 8년 만의 두번째 사례다.[4] 4S(쿼드러플 살코)와 육안으로 구분이 잘 되지 않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3:25:49에 나무위키 모리스 크비텔라시빌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